본문 바로가기
상식,이슈

시진핑 한한령 해제전망 한한령(限韩令)이란?

by richway_MK 2025. 2. 22.
728x90
반응형
SMALL

한한령해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해제 전망과 관련해 실제 해제가 이뤄지면 엔터테인먼트 분야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증권사 전망이 나왔다. 특히 대형 아티스트를 보유한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하이브(352820) 등의 엔터사들의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대규모 K팝 공연·팝업스토어 오픈은 시간문제”


이화정·안재민·주영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보고서에서 “한한령 해제로 엔터는 수혜가 가장 속도감 있게 확인될 산업”이라며 “대규모 K팝 공연과 MD(팬 대상 상품) 팝업스토어 오픈은 시간문제가 될 것이고 광고 재개 따른 상승효과도 유효하다”라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이 유망한 투자 종목으로 꼽은 상위 세 종목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이브, CJ ENM(035760)이다. 우선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중국 내 K팝 공연 재개 시 블랙핑크와 빅뱅이라는 유의미한 모객이 가능한 대형 아티스트가 소속돼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오는 7일 블랙핑크의 완전체 월드 투어를 개시하면 회당 5만 명 이상의 관객을 끌어모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이브 역시 BTS·세븐틴 등 중국 내 유의미한 팬덤을 보유하고 있는 그룹이 있고 엔하이픈·아일릿 등의 중국 팬덤 역시 확대 추세다. 특히 오는 6월 BTS 멤버 전원의 전역의 예정돼 하반기 스페셜 앨범 등을 통한 활동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CJ ENM의 경우 “가장 속도감 있는 중국 내 활동 재개가 두드러질 사업자”라는 평가다. 올 3분기 중 방영이 예정된 오디션 프로그램 ‘보이즈 2 플래닛’의 경우 한국과 중국 간 동시 방영이 예정돼 있다.

 


“드라마는 심의 시간 필요… 면세점은 수익성 개선 여부가 중요”


 

 

NH투자증권은 게임 업계 전망도 밝다고 봤다. 중국 내 게임 출시를 위해 해외 게임회사는 판호(라이선스)를 받아야 하는데, 한한령 해제 시 다수의 게임들이 판호를 발급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얘기다. 다만 연구원들은 “2022년 12월 이후 한국 게임회사들은 이미 판호를 발급받고 있지만, 연간 발급받는 판호 개수가 많지 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드라마 등 콘텐츠에 관해서는 “중국 내 방영을 위해서는 심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단 한한령 이후 비공개 거래 및 심의통과가 된 작품들이 있어 이 작품의 방영에 따른 즉각적 매출 발생이 가능하며 이후 구작(예전 작품) 추가 판매와 동시 방영 신작 판매에 따른 호재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면세점의 경우 한한령 해제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중국인의 한국 단체 관광은 2023년 8월부터 재개돼 있어 사업 구조가 달라질 부분이 제한적이어서 다. 오히려 구조조정을 통한 수익성 개선여부가 주가 방향성을 결정할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 한한령의 배경 – 왜 시행되었을까?

**한한령(限韩令, Hán Hán Lìng)**은 중국 정부가 한국의 문화 콘텐츠(드라마, 영화, 음악, 게임 등)의 중국 내 유입과 활동을 제한하는 조치를 뜻합니다.

 ‘한(韩)’ → 한국(韓國)
 ‘한(限)’ → 제한(限制)
 ‘령(令)’ → 명령(命令)

즉, **‘한국 문화 콘텐츠 제한령’**이라는 의미입니다.

한한령은 정치적, 외교적 이유로 발동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 결정 이후 본격적으로 강화된 한한령입니다.

cn 중국 정부의 입장

중국은 사드 배치가 자국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중국 내 활동을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한한령 시행 이후 변화
✅ 중국 내 한국 연예인의 방송 출연 금지
✅ K-드라마, K-영화의 중국 방영 제한
✅ 한국 아이돌 그룹의 중국 활동 축소
✅ 한류 콘텐츠(게임, 예능, 광고 등) 검열 강화


📌 한한령의 영향 – 한국과 중국의 문화산업 변화

🇰🇷 한국 연예계 & 문화산업

1️⃣ K-POP & K-드라마의 중국 수출 급감
2️⃣ 한국 아이돌 그룹의 중국 활동 축소
3️⃣ 대체 시장 개척 → 동남아, 일본, 북미 시장으로 확장
4️⃣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OTT 플랫폼에서 한류 콘텐츠 강화 중국 문화산업 변화

1️⃣ 중국 자체 아이돌·드라마·예능 제작 증가
2️⃣ 불법 스트리밍을 통한 한국 콘텐츠 소비 지속
3️⃣ 한한령 완화 조짐 – 일부 한국 드라마 및 영화 중국 방영 허가

💡 결론: 한한령이 시행되면서 한국 콘텐츠의 중국 진출이 막혔지만, 글로벌 시장 확장과 넷플릭스를 통한 새로운 한류 붐이 형성되었습니다.


📌 한한령 해제 가능성 – 앞으로 어떻게 될까?

최근 일부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중국 내 공식 플랫폼에서 방영 허가를 받으며 한한령 완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 한국 영화 ‘오! 문희’ 중국 개봉
2023년 –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중국 플랫폼 방영 허용
2024년 – BTS, 블랙핑크 등 K-POP 그룹의 중국 내 공연 논의 증가

📌 전망:
✔ 한한령이 완전히 해제되지는 않았지만, 경제 협력과 문화 교류 확대에 따라 점진적으로 완화될 가능성이 높음

💡 한한령은 한중 관계의 정치적 변수에 따라 언제든 다시 강화될 수도 있으므로, 한국 문화산업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시장을 다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 줄 요약

한한령(限韩令)은 중국 정부가 한국 문화 콘텐츠(드라마, 음악, 영화 등)의 중국 내 유통과 활동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주로 정치적 이유(예: 사드 배치)로 시행되었다. 최근 일부 완화 조짐이 보이고 있지만, 완전한 해제는 불확실하다.

반응형
LIST